레이블이 eCPM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레이블이 eCPM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
2010년 6월 15일 화요일

AdSense : eCPM 정확히 뭔가요?

정말 오랜만의 포스팅 입니다. : )
블로그를 자주 찾아주시는 분들에게는 죄송한 마음도 듭니다.
그래서 제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들에게 유용할만한 내용을 번역해 드리고자 합니다.
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eCPM 입니다.
AdsenseAdmob 등의 광고를 홈페이지나, 모바일 어플에 노출시켜보신 분들은 한번 쯤 궁금해 하셨을 것 같습니다.
또한, 앞으로 계획이 있는 분들에게도 국내에는 자료가 별로 없어서 유용한 정보가 되리라 생각됩니다.


eCPM -- 정확히 뭔가요?

아마도 AdSense 리포트의 리스트안에서 봤을 것입니다. 이것의 의미는 "effective cost per thousand impressions." 인데, 그럼 이게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해 할것 같습니다.



eCPM은 총 수익에서 총 노출횟수를 나눈뒤 1,000을 곱한 수치 입니다. 이 수치로 다양한 종류의 광고의 효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이것을 실험하고 싶을때 eCPM을 통해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하지만, 여러분들의 사이트가 실험샘플을 얻기에 너무 적은횟수 노출될때는 어떻게 할까요? 이렇게 작은 사이트라도 eCPM은 광고 효율을 측정하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됩니다.

예를들면, Blue와 Red의 이름을 가진 두 채널을 가지고 있다고 상상 해봅시다. 테스트동안에 Blue 채널은 370회 페이지가 노출되었고 $1.48 의 총 수익이 발생 했습니다. 레드채널은 187회 페이지가 노출되었고 같은 기간동안 $0.97 의 총 수익이 발생 했습니다. 이 두가지 결과를 좀더 쉽게 비교하기 위해 우리는 eCPM을 계산 합니다. 1000번의 노출동안 얼마나 수익을 낼 수 있는지 추측한 eCPM 결과 값은 Blue가 $4.00 Red가 $5.18 임을 알아냈습니다.

이것은 Blue가 1000회의 노출 동안 거의 $4.00의 수익을 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 하지만 Red의 경우 1000회의 노출동안 약 $5.18의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입니다. 결국 우리의 샘플 값은 충분한 역할을 했으며, 홈페이지에 1회의 노출동안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Red 채널의 광고로 교체할 것입니다.

결론은 eCPM은 1000회 노출당 얻을 수 있는 광고 수익의 예측값이라는 내용입니다.
Adsense, Admob 등의 회사마다 정책이 다르겠지만, eCPM 등의 용어는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

요즘  Admob 을 살펴보고 있는데, 국내 자료가 별로 없어서 안타깝습니다. 이 포스팅의 호응이 좋다면,(저와 같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면) 좀더 포스팅 해보겠습니다. : )

원문 링크 입니다.
http://adsense.blogspot.com/2006/02/ecpm-what-exactly-is-that.html



Monday, February 27, 2006 at 10:25:00 AM